최강경찰 미니특공대

최근 편집일시 :


미니특공대 시리즈 목록
TV판
시즌 1시즌 2시즌 3시즌 4시즌 5
시즌 6시즌 7시즌 8시즌 9-1
시즌 10
>{{{#!wiki style="margin: 0px; min-width: 60px; display:inline-block"
극장판
시즌 1시즌 2시즌 3
{{{#!wiki style="margin: 0px; min-width: 45px; display:inline-block"
번외
특별판
미니특공대 슈퍼공룡파워

최강경찰 미니특공대(2023~2024)

1. 개요
2. 줄거리
4. 설정
5. 주제가
6. 회차 목록
7. 평가
7.1. 호평
7.2. 혹평
7.3. 총평
8. 여담



1. 개요[편집]


미니특공대 시리즈의 6번째 시즌이자 리런칭 작품.


2. 줄거리[편집]


블루시티에 나타난 강력한 초능력을 가진 도둑집단, 버그단!

미니특공대는 최강경찰 미니특공대가 되어 범죄자들의 체포에 나선다!

#



3. 등장인물[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미니특공대 시리즈/등장인물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4. 설정[편집]



4.1. 메카[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미니특공대 시리즈/등장 메카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5. 주제가[편집]




6. 회차 목록[편집]


참고로 1화, 3화는 2023년 9월 29일 EBS1에서 추석특집으로 선방영했었다.
회차제목방영일
1화출동! 최강경찰 미니특공대2023년 11월 28일
2화꼼짝 마, 햄버거 도둑2023년 12월 5일
3화도난당한 수지의 드레스2023년 12월 12일
4화나무도둑과 다람쥐들2023년 12월 19일
5화모나리자 도난사건2023년 12월 26일
6화우당탕탕! 생일 케이크 만들기 대소동2024년 1월 2일
7화바다의 무법자 해적2024년 1월 9일
8화치명적인 꽂 향기![1]2024년 1월 16일
9화새미의 스포츠카2024년 1월 23일
10화자전거 도둑의 음모!2024년 1월 30일
11화이열치열, 무더위 대소동!2024년 2월 6일
12화신발 닌자와의 한판 승부!2024년 2월 13일
13화출격, 저스티스 타이탄!2024년 2월 20일
14화메타버스걸 VS 게임왕 볼트2024년 2월 27일
15화되살아난 화석들!2024년 3월 5일
16화유물 탈환 작전!2024년 3월 12일
17화황야의 대결투!2024년 3월 19일
18화최강 인공지능 로봇, 스톰 체이서의 등장!2024년 3월 26일
19화찰칵찰칵, 그대로 멈춰라!2024년 4월 2일
20화탐욕스러운 어둠의 뱀파이어!2024년 4월 9일
21화공포의 3인조 수박 불량배!2024년 4월 16일
22화구린내의 제왕, 박테리아스!2024년 4월 23일
23화최강 젓가락 고수, 루시!2024년 4월 30일
24화괴물이 된 어리, 버리!2024년 5월 7일
25화소중한 사람을 지키는 힘!2024년 5월 14일
26화최강경찰 미니특공대 최후의 결전!2024년 5월 21일



7. 평가[편집]


현재까지는 미니특공대 시리즈의 암흑기를 끝낸 작품이란 평을 받고 있으며, 최강전사 미니특공대, 미니특공대 X 정도는 아니어도 나름 괜찮은 수작이란 평을 받았다.

원점회귀를 노린 시즌답게 최강전사 미니특공대와 스토리가 비슷하게 흘러간다. 거기에 미니특공대 슈퍼공룡파워를 섞은 느낌.

이를 다르게 말하여 엄청난 수작인 최강전사~X, 그냥저냥 볼 만한 정도인 슈퍼공룡파워의 특성을 합쳐서 장점과 단점을 동시에 지니고 있다.


7.1. 호평[편집]


  • 맥거핀으로 남을 뻔한 악테온을 다시 등장시켜 활용한 점이 큰 호평이다. 하마터면 영원히 묻힐 뻔한 캐릭터를 멋지게 재등장시킨 것이 호응을 얻은 것.

  • 스토리가 기본적으로 슈퍼공룡파워~브이레인저스는 시청 연령대를 영유아들이 볼법한 단계로 낮추는 탓에 유치한 개그가 남발되고, 악당들이 진지하지 않고[2], 유아틱해져서 무인편부터 봐온 올드팬들한테 큰 실망감을 안겼으나, 이번 시즌에서는 시청 연령대를 무인편 ~ X까지의 단계로 다시 맞추고, 악당들도 개그성 간부들을 빼면 대부분 진지해졌으며, 개그도 남발하지 않고 가볍게 웃고 넘길 정도로 스토리가 다시 탄탄해진 덕에 올드팬들한테 호평을 받고 있다.

  • 상황에 따라 폼 체인지가 가능한 헤드캅도 엄청난 인기를 얻고 있으며 호평일색. 무엇보다 헤드캅의 디자인도 굉장히 잘 나와서 좋은 평가를 듣는다.
뿐만 아니라 저스티스 타이탄, 캡틴 커맨더 등의 다른 로봇들의 디자인도 호평이 많다. 완구 자체도 역대 미니특공대 완구 중 가장 호평이 많을 정도.

  • 그동안 3기 부터 괴인들 이름을 대충 지어서 혹평이었는데[3] 이번에 미스터 크림, 포이즌 플라워, 스트롱 다이아, 매드 스컬, 박테리아스 등의 괴인들 이름이 호평이다.

  • 버그단 조직원의 경우, 이름을 의성어로 유아틱하게 짓고, 일부가 혐오스런 디자인으로 나온 에그킹이나, 괴물 그 자체라는 말이 튀어나올 정도로 징그럽게 생긴 암흑 에너지 괴물과 다르게 디자인이나 이름도 나름 신경을 썼는지 버그단의 메인 요소인 벌레의 이미지를 차용했음에도 징그럽거나 혐오스럽단 평이 없고, 이름도 의성어로 유아틱하게 짓지도 않았으며, 9화에서 등장한 카 스틸맨이나 14화에서 등장한 메타버스걸, 15화의 거대화 버전의 매드 스컬, 16화의 디그맨의 드릴 머신, 18화의 골드맨 같은 일부 조직원은 악역임에도 악역 본인의 디자인이나 악역 전용 메카가 오히려 멋지거나 귀엽게 생겼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 거대화 전투도 호평을 받는다. 초창기 시즌인 최강전사, X에서는 거대화 전투에서 로봇과 악역이 부딪힐 때마다 불가루나 스파크가 튀기는 연출이 있었다. 이게 리얼리티가 느껴져서 매우 좋은 평가를 받았는데, 아쉽게도 슈퍼공룡파워 때부터는 이런 연출이 거의 사라졌다. 하지만 이번 시즌은 원점회귀 중심이라 이 연출이 다시 재현되었다.

  • 전작들을 오마주한 요소가 많아 호평을 받았다.[4]

  • 슈트의 퀄리티도 호평인데, X까지 슈트의 퀄리티가 좋았다가 슈퍼공룡파워부터 슈트의 퀄리티가 다소 떨어졌다는 평가를 받았다. 이번 시즌의 슈트는 퀄리티가 좋아져 호평받는다.



7.2. 혹평[편집]



  • 헤드캅의 멋진 디자인에 비해 활약이 워낙 애매해 호불호가 갈린다. 7화의 마린캅, 20화의 파이어캅 사례처럼 처음부터 끝까지 폼 체인지 없이 끝까지 싸워서 이길 수도 있는데, 굳이 폼 체인지 해버려서 이전 헤드캅은 다음 헤드캅을 띄워주기 위한 용도가 되어버린다. 심지어 4화처럼 딱히 밀리는 상황이 아님에도 바꿔버리는 경우도 있다.

  • 메카들의 비중의 경우 전투의 대부분을 종류가 많은(총 9종) 헤드캅이 차지한 탓에 저스티스 타이탄, 캡틴 커맨더, 스톰 체이서는 1~2번 정도 밖에 전투를 하지 않을 정도로 비중이 없어서[5] 일부 올드팬들의 아쉬움을 사고 있다.

  • 캐릭터 붕괴도 크게 지적 받는다. 특히 새미의 경우, 본래의 이성적인 성격과 카리스마는 사라지고 매번 망가지는 개그캐 정도로 전락하였다.[6] 첸 사령관도 이러한 개그씬 때문에 특유의 근엄한 분위기가 퇴색되었다.

  • 스포일러 [접기/펼치기]
    마지막화인 26화 스토리가 많은 혹평을 받았다. 일단 엘리늄의 힘을 받은 악테온과 미니특공대의 파워 벨런스가 심각하게 맞지 않았다. 극장판 <영웅의 탄생>에서 엘리늄에 지배된 빌런이 처음 등장했을 때에도, 직접 싸워 이기지는 못했던 전적이 있었다. 그러기에 개연성을 파괴하지 않는 이상, 전투가 지지부진하게 진행될 수 밖에 없었던 상황.
    또한, 주인공인 볼트에게 모두 몰아준 느낌이 강했다는 평이 많았다. 볼트가 부상을 입은 후, 다른 대원들은 활약보다는 전투에서 밀리는 모습들만 비춰졌다. 이로 인해 최후의 결전보다는 생사를 오고 가는 볼트의 모습이 더욱 강조되어 보이는 이상한 에피소드가 되었다. 이제껏 전투에서 항상 함께 싸워오던 M03G였는데, 이번에는 그런 감동과 웅장함이 없이 자극적이기만 하다며 반응이 좋지 않았다.[1]
    [1] 제작사도 이를 인지하였는지 유튜브 라이브 방송의 코멘터리 코너에서 셀프디스를 하며 언급하기도 했다.

7.3. 총평[편집]


원점회귀 중심의 작품이라 초창기 시즌인 최강전사 미니특공대를 오마주 했다. 스토리의 짜임새도 가볍게 즐길 수 있는 수준에, 로봇의 디자인도 굉장히 좋은 평가를 받는다. 물론 퀄리티 및 악역 디자인 부분은 약간 애매하고, 가벼움이 좀 강하다는 지적도 있다.

결론적으로 퀄리티는 조금 부족하지만, 무난하고 가볍게 즐기는 것이 가능한 수작이라 할 수 있다.


8. 여담[편집]


  • 제목명이 1기인 최강전사 미니특공대와 비슷하다는 점, 멤버 구성이 볼트, 새미, 맥스, 루시, 레이로 구성된 걸로 볼 때 원점회귀로 가는 걸로 보인다.[7][8]


  • 메카인 헤드캅들의 경우, 안전인증에서 공개되었는데, 로봇 머리에서 로봇으로 변형하는 특이한 형태를 하고있다. 헤드캅은 총 9종이 발매될 예정이라고 하며, 맴버들이 기본으로 사용하는 것으로 추정되는 헤드캅 4종 외에 5종이 더 있다는 얘기가 된다. 로봇 머리만 나오고 마는 형식인 듯 하며, 작중에서 패트롤캅이 기본형태이고, 패트롤캅 상태에서 전투가 불가능할시 패트롤 캅이 다른 헤드캅으로 변형을 하는 듯한 연출이 있었기에[9] 합체까지 상정한건 아닌걸로 밝혀졌다. 헤드캅을 수납하기 위한 차량도 있다.


  • 원래는 최강전사 시절 후속 시즌에 등장하려다가 끝내 등장하지 않았었던 당시 악테온이 해당 시즌 당시에서 9년여 만에 드디어 등장했다.

  • 추석특집판과 현재 정식 방영판을 비교해보면 일부 대사가 바뀌거나[10], 추가되거나[11], 아니면 성우가 다른 경우가 있다.[12]

  • 완구가 역대 미니특공대 시리즈 중에서 가장 좋은 평가를 받고 있다. 첫 타자인 헤드캅 시리즈는 전부 프로포션이 준수한 편인데, 그 중에서 배틀캅이 가장 인기가 많은 편이다. 그 다음인 캡틴 커맨더는 헤드캅 및 다른 메카들을 수송하는 기능 외에 준수한 프로포션으로 호평을 얻고 있다. 이 중에서 가장 백미는 바로 합체 메카인 저스티스 타이탄인데, 초거대 메카 사이즈이면서 역대급 프로포션에, 손가락을 포함한 각 관절 전신 풀가동, 발광&사운드를 포함한 각종 기믹 내장 등등 시리즈 전체가 아이들 보다는 키덜트들에게 이목이 쏠릴 정도로 엄청난 호응을 받고 있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0-28 22:57:33에 나무위키 최강경찰 미니특공대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시즌 1 15화 에피소드 제목인 '치명적인 향기'하고 비슷한 제목이다.[2] 단, 애니멀트론의 보스킹은 예외다.[3] 3기는 ○○ 괴물, 4기는 ○○킹, 5기는 암흑 ○○ 괴물.[4] 예를 들면 3화 초반에 볼트가 수지의 드레스를 망치는 장면은 1기 15화와 유사하고, 드레퀸이 나타난 장소는 2기 카카오와 싸우던 백화점이다. 9화 포이즌 플라워와 20화의 밀크큘라가 사람들의 모습을 바꾸는 능력은 3기에 괴물들의 능력과 비슷하고, 이후 루시가 포이즌 플라워에 공격을 맞아 플라워 루시로 변신하는 장면은 3기 43화의 얼음여왕 루시와 같은 원리인 것 같다. 19화에서 카메라맨과 싸우는 방송국은 2기 더스트롱과 싸우던 방속국이고 22화에서는 수지가 4인방에게 밥 먹기 전에 씻고 오라는 장면은 새미가 말 안 듣는 것도 1기 1화의 오마주이다. 그리고 박테리아스의 냄새폭탄은 3기 5화의 변기괴물의 능력과 유사하다. 그리고 마지막화의 제목 역시 1기 마지막화의 제목과 비슷하다. 그리고 13화에서 첸 사령관이 안티 다이아펄스를 소개하다가 실수로 자신의 사진이 나오는 것은 1기 25화 투&투투형제가 타오박사의 손자 시진을 띄우려다가 자신들의 사진이 나오는 것 과 유사하다. 23화에서 나오는 만두가게는 3기 9화의 나온 만두가게다. 24화에서는 1기 보스인 파스칼이 언급되었다. 그리고 블루시티의 모습이 1기때와 비슷하다. 최종화에서 베헤모스와 싸우는 협곡은 4기의 보스킹과 싸우던 협곡이다.[5] 저스티스 타이탄은 4번(13화, 15화, 24화, 26화), 캡틴 커맨더는 2번(16화, 26화), 스톰 체이서는 2번(18화, 26화)만 거대전을 했다. 스톰 체이서의 경우, 22화에도 등장했으나, 별다른 활약없이 미니특공대가 박테리아스를 이길 방법을 전해주는 역할로 잠깐 나오고, 거대전을 하려고 하나 새미가 자기들끼리 맡아서 하겠다며 거대전을 하지 않았다.[6] 이로 인해 비중이 매우 상승하긴 했으나, 과도한 캐붕으로 인해 팬들의 반응은 좋지 않다.불쌍한 새미(...).[7] 에스에이엠지 엔터테이먼트 공식 홈페이지 인물 소개와 예고편을 통해 옷은 안 입는 것으로 밝혀졌다. 여담으로, M-03G 멤버들의 눈이 더 초롱초롱하게 바뀌었다.[8] 볼트는 5기 제 1화에서 옷을 안 입은 모습이 나왔다.[9] 작중 패트롤캅이 1화에서는 메딕캅으로 변했고, 2화에서는 배틀캅이 대쉬캅으로, 3화에서는 패트롤캅이 파이어캅으로 변했다.[10] 헤드캅 소환씬. 추석특집판에서는 "출동!" 이라고 했지만 정식 방영판에는 "저스티스 파워 온!"으로 바뀌었다.[11] 변신장면. 정식 방영판에는 변신 장면에 "저스티스 파워 온!" 이라는 대사가 추가되었다.[12] 미니특공대원들이 출동할 때 출동 명령 멘트를 말한다. 추석특집판은 다른 성우(한만중 성우로 추정)가 했으나 정식 방영판에서는 정영웅 성우로 바꼈다.